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팀장이 PR좀 보내주세요~ 할 때가 오게 됩니다. PR이 무엇인지, 어떻게 보내는지 이번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PR이란? PR은 Pull Request의 약자로, 코드베이스에 대한 변경을 제안하기 사용되는 메커니즘입니다. 프로젝트에 새로운 기능, 버그 수정 또는 업데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R하는 방법 프로젝트를 열심히 하면 위와 같이 changed files을 볼 수 있습니다. 변화된 파일들은 곧 본인이 작업한 Task를 뜻합니다. 제목을 적으신 후에 [Commit to ~] 버튼을 눌러줍니다. 먼저 원격 저장소에 Push를 해줍니다. 다음으로 [Create Pull Request]버튼을 눌러줍니다. 만약 [Create Pull Request]버..
Merge할 때 Resolve Conflicts 버튼이 비활성화되는 이유 Merge할 때 Resolve Conflicts 버튼이 비활성화 될 때의 이유는 충돌 범위가 너무 많아 시스템이 충돌 범위를 헤아리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해결방법 이 포스팅의 경우 Resolve Conflicts 버튼이 비활성화 될 때 해결책으로 "GitHub DeskTop" 을 사용합니다. GitHub Desktop Simple collaboration from your desktop desktop.github.com GitHub Desktop을 키고 Merge하고자 하는 브랜치로 돌아가줍니다. 상단 [Branch] 누르고 [Merge into current branch...]를 눌러줍니다. [Create a merge commi..
Branch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Master로부터 여러 갈래로 뻗어나오는 자식들을 말합니다. Branch를 통해 코드 및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Branch를 왜 사용하냐? Branch를 분기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parallel(병렬적), independent(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진행하던 버전(Origin)은 그대로 두고, 새 기능을 추가한 버전을 따로 만들어 관리하다가 기능 구현이 오류 없이 잘 작동된다면 기존 버전에 합칠 수 있습니다. Branch 만드는 방법 위 사진에서 보시다 시피 Current branch 탭을 누르시면 현재 브랜츠들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New branch] 버튼을 찾을 수 있습니다. [New branch]를 누르면 우측 사진처럼 창이 ..
Commit 예시 #feat (Feature, 기능 추가): - feat 태그는 코드베이스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때 사용됩니다. 예) feat: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검색 기능 추가 #fix (Bug Fix, 버그 수정): - fix 태그는 코드베이스에서 버그를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fix: 로그인 모듈의 메모리 누수 이슈 해결 #docs (Documentation, 문서 수정): - docs 태그는 문서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됩니다. 예)docs: README에 설치 지침 업데이트 #style (Style, 코드 스타일 수정): - style 태그는 코드 로직 변경 없이 코드 스타일만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예) style: 코드 포맷팅을 prettier로 재구성 #refactor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