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공부를 복습할 겸 적는 것이기에 내용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부족한 것은 상관 없으나, 잘못된 부분이 발견된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avaScript의 함수(Functions)
함수란 무엇인가요?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모듈화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 구조 중 하나입니다.
JavaScript에서 함수는 'Single Unit'으로 취급되며, 변수에 할당하거나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helloWorld() {
console.log("Hello, 세상~!");
}
함수 선언(Function Declaration)
Function Invocation은 함수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호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함수의 이름, 매개변수, 그리고 실행할 코드 블록을 정의해야 합니다.
아래 예시에서 distance함수는 네 개의 인자를 받아 거리를 계산한 후 반환합니다.
function distance(x1, y1, x2, y2) {
const dx = x2 - x1;
const dy = y2 - y1;
return Math.sqrt(dx * dx + dy * dy);
}
함수 호출(Invoking Functions)
함수를 호출하면 함수의 코드 블록이 실행됩니다. 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let total = distance(0, 0, 2, 1) + distance(2, 1, 3, 5); // 위에서 사용한 distance 함수 호출
반환 값(Return Values)
함수는 return 문을 사용하여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return Math.sqrt(dx * dx + dy * dy);
위 함수 호출 예제에서 total에는 distance함수에서 return받은 값이 저장됩니다.
호출 vs 참조(Calling vs. Referencing)
함수를 호출할 때는 괄호를 사용하고, 참조할 때는 괄호를 생략합니다.
let result = distance(0, 0, 2, 1); // 함수 호출, 결과를 result 변수에 저장
const myDistance = distance; // 함수 참조
console.log(myDistance(0, 0, 2, 1)); // 함수 호출
함수 인자(Function Arguments)
함수에 전달되는 값들을 인자라고 합니다.
function distance(x1, y1, x2, y2) {
const dx = x2 - x1;
const dy = y2 - y1;
return Math.sqrt(dx * dx + dy * dy);
}
let total = distance(0, 0, 2, 1) + distance(2, 1, 3, 5); // 일반 함수 호출
위 예제 코드에서는 (0,0,2,1), (2,1,3,5)가 인자 값으로 사용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this 키워드
this 키워드는 함수가 실행되는 문맥(context)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집니다.
const obj = {
value: 42,
showValue: function() {
console.log(this.value);
}
};
obj.showValue(); // 출력은 42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s)
익명 함수는 이름이 없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함수는 한 번만 사용되거나, 변수에 할당되거나,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됩니다.
다음은 익명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는 예시입니다.
//익명 함수
const distanceExpression = function(x1, y1, x2, y2) {
const dx = x2 - x1;
const dy = y2 - y1;
return Math.sqrt(dx * dx + dy * dy);
};
let totalExpression = distanceExpression(0, 0, 2, 1) + distanceExpression(2, 1, 3, 5);
console.log(totalExpression); // 결과 출력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s)
ES6에서 도입된 화살표 함수는 더 간단한 문법으로 함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const square = x => x * x;
console.log(square(5)); // 출력: 25
Class란?
클래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개념 중 하나로, 같은 종류의 객체들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또는 설계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클래스는 데이터와 이를 조작하는 메서드를 하나로 묶어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class Animal {
constructor(name) {
this.name = "진우";
}
speak() {
console.log(this.name + ' makes a noise.');
}
}
const animal = new Animal();
animal.speak(); // Output: "Jinwoo makes a noise."
ECMA 2016기준으로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class Animal {
name = "Jinwoo";
speak() {
console.log(this.name + ' makes a noise.');
}
}
상속(Inheritance)
상속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물려받는 기능입니다.
상속을 통해 코드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고, 구조화된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class Car {
constructor(brand) {
this.brand = brand;
}
showBrand() {
console.log('This car is a ' + this.brand);
}
}
class ElectricCar extends Car {
constructor(brand, batteryCapacity) {
super(brand);
this.batteryCapacity = batteryCapacity;
}
showBatteryCapacity() {
console.log('This car has a battery capacity of ' + this.batteryCapacity + ' kWh');
}
}
Scope (스코프)
스코프는 변수가 어디에서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를 정의하는 용어입니다.
스코프는 함수 단위 또는 블록 단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로 구분됩니다.
Lexical (Static) Scoping (렉시컬 스코핑)
렉시컬 스코핑이란, 변수가 어디에서 접근 가능한지가 코드를 작성하는 시점에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함수가 어디에 선언되었는지에 따라 그 함수가 어떤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지가 결정됩니다.
let a = '전역 변수';
function outerFunction() {
let b = 'outer 변수';
function innerFunction() {
let c = 'inner 변수';
console.log(a, b, c); // 여기서 a, b, c 모두 접근 가능
}
innerFunction();
}
outerFunction();
Global Scope & Block Scope (전역 스코프와 블록 스코프)
- 전역 스코프: 코드의 어떤 곳에서든 접근 가능한 변수를 의미합니다.
- 블록 스코프: 중괄호 {} 내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를 의미합니다. let과 const는 블록 스코프를 가집니다.
let globalVar = "I'm a global variable";
function showGlobalVar() {
console.log(globalVar); // "I'm a global variable" 출력
}
showGlobalVar();
function blockExample() {
if (true) {
let blockVar = "I'm a block variable";
console.log(blockVar); // "I'm a block variable" 출력
}
// console.log(blockVar); // 오류! blockVar는 블록 범위에만 유효
}
blockExample();
Variable Masking (변수 마스킹)
두 개 이상의 스코프에서 같은 이름의 변수가 있을 경우, 가장 가까운 스코프의 변수가 먼저 사용됩니다. 이를 변수 마스킹이라고 합니다.
let x = 10; // 전역 변수
{
let x = 20; // 블록 스코프 변수
console.log(x); // 20 출력, 가까운 스코프의 x 사용
}
console.log(x); // 10 출력, 전역 스코프의 x 사용